
첫 고시원의 복도는 좁았다 (난 2년간 총 3군데의 고시원에서 거주했다). 오래된 건물의 오래된 고시원이었다. 1층에 음식점이 있어 벌레 걱정을 많이 했지만 1년 가까이 살면서 바퀴벌레는 본 적이 없고 집게벌레는 보았다. 그 외엔 작은 날파리 정도? 거주 기간이 정확하지 않아 고시원 전입 신고는 따로 하지 않았다. 나중에 알게 된 사실인데 서울시에서 진행하는 청년 월세 지원 혜택을 고시원에서도 볼 수 있더라. 이 사실을 알았다면 혜택을 받기 위해 고시원 전입 신고를 했었을 것 같다. 옆방엔 나보다 좀 더 나이가 많은 키 큰 청년이 살았고 또 옆방엔 외국인이 살았다. 재밌는 점은 고시원이 대학교와 멀지 않은 곳이었는데 가격이 저렴해서 그런지 어학당에 다니는 또래 외국인들이 많이 거주했다. 이 얘긴 다음에 ..

고시원 코로나 에 대해 안전할까요? 고시원vs원룸 처음부터 말하자면 원룸의 승리! 제가 생각한 그 이유에 대해 포스팅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먼저 말씀 드리면 저는 고시원 장기거주 2년, 그리고 따끈따끈한 전입신고서,,원룸입주 한달차 1인가구입니다ㅎㅎ 주변에서 고시원 장기거주 한 사람 흔하게 보실수 없으실거에요~ㅎㅎ 제가 고시원 탈출 했던 가장 큰 이유는 불편한 '주방' 때문 이었답니당 공용생활이 불편하다~등 누구나 아는얘기 보단 제 생각위주로 말씀드릴게요 돈의 차이가 정말 클까? 고시원을 고려하는분들의 대부분은 '단기거주' 목적이실거에요. 하지만 원룸vs고시원 을 고려하는분들은 1년이상 거주하는 목적이시겠지요? 당연히 월세에 대해서는 고시원의 압도적인 승리죠! 정말 무섭게 싼곳은 10만원대부터,,(하..

2021 주거급여에 대해서 알아봤어요. 고시원을 살고있는 저도 서울의 다양한 혜택을 받고싶어서 많이 알아보았는데요. 주거급여 신청자격이 저랑은 맞지않아 아쉽게도 전 해당이 되지않네요ㅜㅜ 신청자격의 소득기준이 생각보다 많이 낮더라구요. 2020년 주거급여 선정 기준으로 기준중위소득의 45% 이내여야 한다는데요 1인가구는 790,737, 2인가구 1,346,391원, 3인가구 1,741,760원 4인 가구 2,137,128원, 5인가구 2,532,497원 등 으로 생각보다 소득이 적어야 하더라구요. 간단한 아르바이트를 하며 공부를 하는 1인가구에게는 좋은 혜택이 될것같아요. 중위소득기준 45%에서 조금더 올려주면 안되는거겠죠,,?ㅎㅎ 소득기준 외에도 다양한 기준들이 있겟죠. 지원대상은 아래 사진을 한번 봐주..